dev.note/환경 3

H2 Database 서버모드

H2 다루고 있는 참에 관련 내용을 조금 정리하는게 좋겠다 기본적으로 embed 방식으로 많이 사용하지만 막상 개발이든 뭐든 그렇게 사용해보면 불편한 점이 곧바로 생긴다 어느 한곳에서 DB 접속을 해버리면 나머지는 접속이 불가하다는 것 그래서 곧 server mode로 접근하는 방식을 찾게 된다 방법이 특별한게 있는건 아니고 연결 주소를 서버모드의 주소로 바꿔주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이랬던 주소를 spring.datasource.url=jdbc:h2:~/h2-db-the-fuck-you-want 이렇게 바꾸면 된다 spring.datasource.url=jdbc:h2:tcp://localhost/~/h2-db-the-fuck-you-want 다만 그냥은 저렇게 연결이 안되고 h2 database 를 ..

dev.note/환경 2022.12.13

spring boot h2 database 세팅

진행 된 환경은 다음과 같음 spring boot 3.0.0 spring 6 설정파일 - application.properties TMI 본인은 yml보다는 properties 파일을 좋아한다 yml이 가독성이 좋다고 하는데 내눈엔 properties가 더 눈에 잘보인다 어느 위치에 있는지 눈으로 위아래 보는것과 바로 윗줄 아랫줄에 글자가 어디까지 같은지 보는건 크게 차이나지 않나... 일단 라이브러리가 추가 되어있어야 한다 본인의 dependencies는 아래와 같음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s..

dev.note/환경 2022.12.13

[gradle] springboot 3.0.0 thymeleaf 설정

IDEA 프로젝트로 생성하는데 spring boot 버전이 3.0.0이 기본 셋팅이 되었다 thymeleaf를 추가했는데 이런 메시지가 나오며 빌드가 안된다 Could not resolve org.thymeleaf.extras:thymeleaf-extras-springsecurity6:3.1.0.RELEASE 나온지 얼마 안되서 레파지토리 관련 문제가 있는 모양인데 build.gralde의 repositories를 다음과 같이 바꿔준다 repositories { maven { url "https://repo1.maven.org/maven2" } maven { url "https://repo.spring.io/milestone" content { // Thymeleaf uses 6.0.0-RC2 of Se..

dev.note/환경 2022.12.12